문화재를찾아서/성·산성·돈대(53)
-
제천/덕주산성 (堤川 德周山城) 외성의 남문
제천 덕주산성 (堤川 德周山城) 시도기념물 제35호 충북 제천시 한수면 송계리 산1-1번지 외 충청북도 제천시 월악산의 남쪽에 있는 이 산성은 돌로 쌓은 통일신라시대의 산성으로, 내성과 외성으로 되어있다. 문경과 충주를 잇는 도로를 차단하는 전략적인 요충지이기 때문에 차단성의 ..
2018.03.01 -
제천/덕주산성(堤川德周山城) 외성의 동문
제천 덕주산성(堤川德周山城) 외성의 동문 충청북도 시도기념물 제35호 충청북도 제천시 한수면 송계리. 통일신라시대의 산성. 둘레 약 2,000m. 충청북도 기념물 제35호. 현재 유구는 거의 무너졌으나 조선시대에 쌓은 남문·동문·북문 등이 남아 있다. 이 산성은 신라경순왕의 큰딸 덕주..
2018.03.01 -
강화/외성(江華 外城) 중 강화전성(江華塼城)
강화전성(江華塼城) 인천광역시 시도기념물 제20호 인천광역시 강화군 불은면 오두리 563 길이 270m, 높이 0.9∼1.2m. 이 성은 강화도에 축조된 고려 외성 중의 하나로 밑 부분은 돌로 쌓고 윗부분은 벽돌로 쌓았다.원래 이 성은 1231년(고종 18)에서 1270년(원종 11) 사이에 토성으로 축조되었다고..
2018.02.19 -
강화/강화산성 서문(江華山城 西門)
강화산성 서문(江華山城 西門) 사적 제132호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국화리 883-1 몽고의 침입으로 고려가 강화도로 천도할 당시 축조되었다. 원래 내성·중성·외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1234년에 규모있는 궁궐의 내성으로 축조되었다. 중성과 외성은 그 이후에 축조되었다. 고려시대..
2018.02.11 -
강화/강화산성 북문&북장대
강화산성 북문 그리고 북장대 터 강화산성은 고려 고종 19년(1232년)에 강화도로 천도한 뒤, 몽고에 대항하기 위해 흙으로 쌓은 토성이다. 내성은 개경으로 수도를 옮김과 동시에 헐렸고, 조선 초에 이르러 새롭게 토성으로 개축되었다. 그 후 인조 15년(1637년) 병자호란 때 대부분 파괴되었..
2018.02.05 -
강화/삼랑성 (江華 三郞城) (정족산성, 鼎足山城)
강화 삼랑성 (江華 三郞城) (정족산성, 鼎足山城) 사적 제130호 인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산41번지 강화도 남쪽 해발 222m의 정족산(鼎足山)에 위치한 산성으로, 정족산성으로도 불린다. 고려∼조선시대에 수도 개경과 한양의 외곽을 방어하는 가장 중요한 관방시설이었다. 흔히 “강도(..
2018.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