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동무일상/논어·문학·책(27)
-
어진 사람의 태도
子曰 弟子立則孝하고 出則弟하며 謹而信하며 汎愛衆호되 자왈 제자입즉효하고 출즉제하며 근이신하며 범애중호되 공자께서 말씀 하시기를. "제자는 집에 들어가서는 부모에게 효도하고 밖에 나노면 윗 사람을 공경하며 행실을 삼가고. 말을 성실하게 하고 믿으이 있어야 하며 널리 모..
2017.12.23 -
나라를 다스리는 사람의 태도
子曰 道千乘之國호되 敬事而信하며 節用而愛人하며 使民以時니라 자왈 도천승지국호되 경사이신하며 절용이애인하며 사민이시니라 공자가 말씀 하시기를 "천승의 나라를 다스리는 데 있어 매사를 삼가고 신중히 생각하며 백성들의 믿은을 얻어야 하고 비용을 절약하여 백성들의 수고..
2017.12.23 -
매일 세 번씩 반성한다
曾子曰 吾日三省하노니 爲人謨而不忠乎아 증자왈 오일삼성하노니 위인모이불충호아 증자가 말하였다."나는 날마다 하루에 세 번씩 반성한다. 첫째. 남을 위하여 일을 도모함에 있어 정성을 다하였는가? 與朋友交而不信乎아 傳不習乎이니라 여붕우교이불신호아 전불습호이니라 둘째.친..
2017.12.17 -
꾸밈이 많은 사람은 실속이 없다
子曰 巧言令色이 鮮矣仁이니라 자왈 교언령색이 선의인이니라 공자께서 말씀 하시기를. "남이 듣기 좋아하는 말과 아첨하는 사람은 어진 사람이 적은 법이니라." 공자는 미사여구와 미소를 짓는 사람 치고 어진 사람은 적다고 하였다. 이것은 꾸밈이 많은 사람은 진실하지 못하다는 뜻이..
2017.12.15 -
근본이 바로서야 도가 생긴다
有子曰 基爲人也孝弟요 而好犯上者鮮矣니 유자왈 기위인야효제요 이호범상자선의니 유자가 말하기를. 그 사람됨이 효성스럽고 공경스러우면 不好犯上이요 而好作亂者는 未之有也니라 불호범상이요 이호작란자는 미지유야니라 윗사람 범하기를 좋아하지 않으므로 난을 일으키기 좋아..
2017.12.14 -
배우면 모든것이 즐겁다
子曰 學而時習之면 不亦說乎아 有朋이 自遠方來면 자왈 학이습지면 불력열호아 유붕이 자원방래 공자꼐서 말씀 하시기를, "배우고 그것을 꾸준히 되풀이하여 복습하면 이 또한 기쁜일이 아니겠느냐? 벗이 멀리서 찾아 온다면 이 어찌 즐거운 일이 아니겠느냐? 不亦樂乎아 人不知而不온..
2017.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