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240)
-
강화/석수문(江華石水門 )
강화 석수문(江華石水門 ) 인천광역시 시도유형문화재 제30호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국화리 883 수문의 길이 10m, 높이 3.8m, 너비 4m. 세 개의 수문으로 되어 있는데, 각 수문은 화강석을 다듬은 선단석(扇單石)을 4단 내지 5단으로 쌓아 이를 교각으로 삼고, 그 위에 매끄럽게 다듬은 월단..
2018.02.11 -
강화/강화산성 서문(江華山城 西門)
강화산성 서문(江華山城 西門) 사적 제132호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국화리 883-1 몽고의 침입으로 고려가 강화도로 천도할 당시 축조되었다. 원래 내성·중성·외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1234년에 규모있는 궁궐의 내성으로 축조되었다. 중성과 외성은 그 이후에 축조되었다. 고려시대..
2018.02.11 -
강화/연무당 옛터
연무당 옛터 강화산성 서문 건너편에 있는 연무당 옛터는 1876년 강화도조약이 최종 조인된 장소입니다. 이곳에서 체결된 강화도조약에 의해 우리나라는 부산,인천,원산을 일본에게 개항하였다. 연무당은 고종 7년(1870)에 창건되었는데 1876년 강화도조약을 이곳에서 맺게 되어 비석으로 ..
2018.02.11 -
강화/강화향교(江華鄕校)
강화향교(江華鄕校) 인천광역시 시도유형문화재 제34호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관청리 938-2 1127년(인종 5) 3월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해 고려산(高麗山) 남쪽 기슭에 창건되었다. 1232년(고종 19)에 지금의 갑곶리(甲串里)로 옮겼다..
2018.02.08 -
강화/선원사지 (江華 仙源寺址)
강화 선원사지 (江華 仙源寺址) 사적 제259호 인천 강화군 선원면 지산리 산133번지 선원사는 고려시대에 몽골의 침략을 받아 강화도로 도읍을 옮긴 후 1245년(고려 고종 32) 당시 최고 권력자였던 최우(崔瑀)가 자신의 원찰(願刹)이자 대몽항쟁의 정신적 지주로 삼고자 창건한 곳이다. 강화..
2018.02.07 -
강화/강화산성 북문&북장대
강화산성 북문 그리고 북장대 터 강화산성은 고려 고종 19년(1232년)에 강화도로 천도한 뒤, 몽고에 대항하기 위해 흙으로 쌓은 토성이다. 내성은 개경으로 수도를 옮김과 동시에 헐렸고, 조선 초에 이르러 새롭게 토성으로 개축되었다. 그 후 인조 15년(1637년) 병자호란 때 대부분 파괴되었..
2018.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