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6. 9. 22:02ㆍ문화재를찾아서/한국사기행
-평화 누리길을 따라 가는 여행-
이번 여행을 통하여 북방 지역에 있는 삼국시대. 고려시대에서 조선으로 이어지는 문화 유산을 학습 할 수 있는 소중한 여행 이었습니다.
오늘 소개할 평지에 축조된 삼국시대의 성 호로고루를 소개 합니다.
생소했던 성의 이름과 그 사실을 전무 후무한 상태라 "문화재청"의 자료로 도움을 받습니다.
호로고루는 삼국시대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는 산성. 임진강변의 하안단구 지형을 활용한 평지성이다. 지리적으로는 개성과 서울 사이의 길목으로 배를 타지 않고 임진강을 건널 수 있는 여울목이다.
성의 전체 길이는 400여m이며 이 성이 축조되기 전에는 목책(말뚝을 박아 만든 울타리)이 있었던 것으로 발굴조사 결과 밝혀졌다. 축성법은 판으로 흙을 다져쌓고 그 바깥쪽을 돌로 다시 쌓는 방식으로 이는 고구려의 독특한 산성 축조방식이다 호로고루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효종 7년(1656)에 편찬된 『동국여지도』 이며 이책에는 호로고루가 삼국시대의 유적임이 명시되어 있고 최초의 학술조사 기록은 1919년에 발간된 『조선고적조사보고』이다. 이 보고서에는 도면과 함께 사진을 싣고 있으며 삼국시대 성으로서의 중요성이 기술되어 있다. 그 후 1991년부터 2003년 사이 본격적인 학술조사 및 발굴조사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호고로구 정상
<삼국사기>에는 호로고루성이 있는 고랑포 일대의 임진강을 과천·호로강·표강이라 했으며, 삼국 간의 전투 기사가 자주 등장한다. 호로고루에 대한 최초의 기사는 효종 7년(1656)의 <동국여지도>며 여러 기록을 통해서 이 지역에서 고구려와 신라, 신라와 당나라 사이에 전투가 치열했음을 알 수 있다. 호로고루라는 지명에 대해서는 임진강의 별칭에서 볼 수 있듯이 인근 지형이 조롱박처럼 생겼다하여 붙여졌다고도 하고 마을을 뜻하는 ‘홀(호로)’와 ‘성’을 뜻하는 ‘구루’가 합쳐져 ‘호로고루’가 되었다고도 한다
도로가의 이정표
호로고루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효종 7년(1656)에 편찬된 『동국여지도』 이며 이책에는 호로고루가 삼국시대의 유적임이 명시되어 있고 최초의 학술조사 기록은 1919년에 발간된 『조선고적조사보고』이다. 이 보고서에는 도면과 함께 사진을 싣고 있으며 삼국시대 성으로서의 중요성이 기술되어 있다. 그 후 1991년부터 2003년 사이 본격적인 학술조사 및 발굴조사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출입구 로 가는길
성의 형태는 북동쪽에서 남서 방향으로 흐르는 임진강에 접한 현무암 천연절벽의 수직단애 위에 있는 삼각형의 강안평지성(江岸平地城)이다. 성벽의 전체둘레는 성의 가장자리를 따라 재었을때 약 400여m이고, 그중 남벽은 161.9m, 북벽은 146m이며, 동벽은 현재 남아있는 부분이 93m이고 성내부는 전체적으로 해발 22m, 성벽 최정상부는 30m 정도이다. 성벽 중 가장 높은 동벽 정상부와 서쪽 끝부분에는 장대(將臺)가 설치되었으며, 성으로 진입하는 문지는 동벽 남쪽을 제외하고는 없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강변쪽의 방어 울타리
연천호로고루는 연천당포성, 연천은대리성과 함께 임진강과 한탄강이 지류와 만나 형성하는 삼각형의 대지위에 조성된 독특한 강안평지성(江岸平地城)으로 임진강이 국경하천역할을 했던 삼국시대와 밀접한 관련이 있고 학술적으로 가치가 높은 귀중한 문화유적이다.
성벽과 강변 울타리
발굴 조사를 통하여 집수시설 이었은을 증명 해 주고 있습니다
집수 시설이 있었던 터
성의 형태는 북동쪽에서 남서 방향으로 흐르는 임진강에 접한 현무암 천연절벽의 수직단애 위에 있는 삼각형의 강안평지성(江岸平地城)이다. 성벽의 전체둘레는 성의 가장자리를 따라 재었을때 약 400여m이고, 그중 남벽은 161.9m, 북벽은 146m이다.
정상에서 본 능선형
호로고루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효종 7년(1656)에 편찬된 『동국여지도』 이며 이책에는 호로고루가 삼국시대의 유적임이 명시되어 있고 최초의 학술조사 기록은 1919년에 발간된 『조선고적조사보고』이다. 이 보고서에는 도면과 함께 사진을 싣고 있으며 삼국시대 성으로서의 중요성이 기술되어 있다.
정상에서 내려다본 전경
정상 언덕을 오를수 있는 데크계단
-여기서 부터는 호로고루에서 볼수 있는 사계 입니다-
맑지않은 일기에서 보는 사계지만 넓은 아량으로 보세요.....
항상 서로가 공유할수 있는곳 다음 블로그 에서 여러분의 여행 자료와 행복 가득한곳을 선택할수 있는 멋진 공간 되시기 바랍니다
'문화재를찾아서 > 한국사기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천/주상절리 위의 당포성 (천혜의 요새) (0) | 2014.06.12 |
---|---|
연천/평화 누리길을 따라 걷는길 숭의전 (0) | 2014.06.10 |
연천/신라 마지막 왕 경순왕릉 (0) | 2014.06.08 |
서울/유네스코 세계유산 창덕궁 (0) | 2014.06.05 |
서울/유네스코 세계유산 창경궁 (0) | 2014.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