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9. 2. 13:42ㆍ강물따라달리자/낙동강물길따라
-하 회 마 을-
중요민속자료 제122호
이 마을은 풍산 류씨가 600여 년간 대대로 살아온 한국의 대표적인 동성 마을이며
와가 와 초가가 오랜 역사 속에서도 잘 보존된 곳이다. 특히 조선시대 대 유학자인
류운룡과 임진왜란 때 영의정을 지낸 류성룡 형제가 태어난 곳으로도 유명하다.
마을 이름을 하회(河回)라고 한것은 낙동강이 "S"자 모양으로 마을을 감싸 안고 흐르는
데서 유래 되었다. 하회마을은 형국상으로 태극형. 연화부수형. 행주형에 해당하며
이미 조선시대때 부터 사람이 살기에 가장 좋은 곳으로도 유명 하였다.
마을의 동쪽에 태백산에서 뻗어나온 해발327m의 화산이 있고. 이화산의 줄기가
낮은 구릉지를 형성 하면서 마을의 서쪽 끝까지 뻗어 있으며. 수령이 600여년 된 삼신당
느티나무있는 지역이 마을에서 가장 높은 중심부에 속한다.
하회마을의 집들은 삼신당 느티나무를 중심으로 강을 향해 배치되어있기 때문에
좌향이 일정하지 않다. 한국의 다른 마을들의 집들이 정남향 또는 동남향을 하고 있는 것과는
상당히 대조적인 모습이다. 또한 큰 와가를 중심으로 주변의 초가들이 원형을 이루며 배치되어
있는것도 특징이라 하겠다. 하회마을에는 서민들의 놀이인 "하회별신굿탈놀이" 와
선비들의 풍류 놀이인 "선유줄불놀이" 가 현재 까지도 온전히 전승되고. 우리나라의 전통생활
문화와 고 건축양식을 잘 보여주는 문화 유산들이 잘 보존 되어 있다.
-하 회 마 을 현 황-
주 민 수 | 가 구 수 | 문화재 지정가옥 | 일반 가옥 | 주요 생산물 | 종교 시설 | 국 보 |
12호 | 115호 | 쌀. 고추 | 교회(1). 사찰(1) | 2점(징비록.하회틸) |
-전통생활문화 체험 프로그램 운영계획-
★시연일정
프로그램 | 시간 | 장소 | 일정 |
혼례시연 | 13:00 ~ 14:00 | 지산 고택 |
4월 14일(토). 29일(일). 5월 5일(토). 20일(일) 6월 24일(일) 8월 4일(토) 9월 8일(토). 22일(토) 10월 13일(토). 27일(토) |
상례시연 | 15:00 ~ 16:00 | 표지석 ~ 만송정 |
매월 마지막주 토요일 8월은 8월 4일(토) |
짚. 풀 공예 | 10:00 ~ 17:00 | 하중재 | 매주 토. 일요일 |
마실가기 |
1조 : 10시 ~ 12시 2조 : 15시 ~ 17시 |
마을안길 | 매주 토. 일요일 |
다듬이 소리 |
1조 : 10시 ~ 12시 2조 : 13시 ~ 15시 |
하동고택 |
매주 토. 일요일
|
물동이 머리이기 | 15:00 ~ 17:00 | 남쪽우물~마을안길~하동고택 | 매주 일요일 |
물지게지기 | 13:00 ~ 15:00 | 나룻터~튜역하~이장님댁 | 매주 일요일 |
북촌마을 전경 |
탈 춤 전수관 후사면으로 이어져 있습니다 |
매표를 하고 하회 장터로 들어갑니다 |
하회장터 |
01 |
02 |
03 | ||
하회장터 시당들 |
장터 모습 |
선물가계들 및 시당가 |
01 |
02 |
03 | ||
장터내 휴식공간 육각정 |
하회장터 출구 |
자전거나 도보가 아니면 은행이 익어가는 사진은 찍을수 없습니다. 모두들 버스를타고 이동 하기 때문 이지요 |
세계유산 한국의 역사마을 하회 표지석 |
탈 박물관 전시장 |
매표소에소 자전거를 타고 언덕을 넘으면 바로 근접 까지 도착을 합니다 |
진입로 우측의 연밭 이제 연밥이 다익어 열매가 영글어서 수화을 남겨놓고 있습니다 |
해살사 한분이 여행객을 상대로 열심히 해설을 해 주고 있습니다 |
안내판의 안내도를 확대를 하였습니다 |
-마을의 문화 유산-
종목 | 분류 | 명칭 |
국보 제121호 | 민속 공예류 | 하회탈 및 병산탈 |
국보 제132호 | 원고본 | 징비록 |
보물 제160호 |
활자본류 기타 |
서애류성룡 종가 문적 11종 22점 |
보물 제460호 |
고문서류 기타 |
서애유성룡 유물 3종 27점 |
부물 제306호 | 고가 | 양진당 |
보물 제414호 | 고가 | 충효당 |
사적 제260호 |
서원(사적) | 병산서원 |
중요민속자료 제84호 | 정사/사옥 | 화경당(북촌) |
중요민속자료 제85호 | " | 원지정사 |
중요민속자료 제86호 | " | 빈연정사 |
중요민속자료 제87호 | " | 작천고택 |
중요민속자료 제88호 | " | 옥영정사 |
중요민속자료 제89호 | " | 겸암정사 |
중요민속자료 제90호 | " | 염행당(남촌) |
중요민속자료 제91호 | " | 양오당(주일재) |
중요민속자료 제177호 | " | 하동고택 |
중요민속자료 제122호 | 민속마을 | 하회마을(1984) |
중요무형문화재 제69호 |
연극 | 하회별신굿탈놀이 |
경북도민속자료 | 서원(사적) | 화천서원 |
01 |
02 |
03 | ||
북촌마을 와가 |
북촌마을 와가 |
북촌마을 와가 |
01 |
02 |
03 | ||
염행당 방향의 초가 |
북촌마을 와가 |
민속 체험장 |
|
| |
민속 체험장 |
초가마을 |
북촌마을 와가 |
남촌 마을 안길 |
01 |
02 |
03 | ||
초가마을 |
초가마을 민박도 하는군요 |
담장 |
|
| |
하동고택은 중요 민속자료 제177호 입니다 |
하동고택 |
01 |
02 |
03 | ||
북촌마을 |
북촌마을 |
북촌마을 체험장이 있는곳 입니다다 |
01 |
02 |
03 | ||
북촌 마을 |
북촌마을 안길 |
남촌마을 안길 |
탈의 종류도 참 많은것 같네요 |
남촌 마을 |
01 |
02 |
03 | ||
양진당 보물 제 306호 입니다 |
보물 표지석 |
양진당은 인천 월미공원에 같은 모양으로 지어저 각종 민속놀이를 포함하여 시민들의 문화에도 크게 이바지하고 있는 상황 입니다 |
양진당의 내부 칸 입니다 |
양진당의 좌측 칸의 모습 입니다 |
충효당은 보물 제414호 입니다 |
충효당 표지석 |
01 |
02 |
03 | ||
충효당의 정면 입니다 |
구상나무(이 구상 나무는 1999년 4월 21일 영국 여왕인 엘리자베스2세가 전통과 문화가 살아 숨쉬는 안동 하회마을 방문을 기념하기 위하여 심은 것 이랍니다 |
북촌마을 초가 |
작천고택 중요만속자료 제87호 입니다 |
작천고택의 전경 |
01 |
02 |
03 | ||
북촌마을 끝자락 |
북촌마을 전경 |
내용을 입력하세요 |
민속놀이마당 입니다 강변에 위치 하고 있습니다 |
이즈음에 폭우가 내립니다 그래서 여기까지의 것으로 아쉽지만 마감 합니다 |
하회마을의 위치 및 참고 지도를 확인 하시면 좋은 여행 되실 것 입니다
입구에서 거리가 있는 관계로 매표를 하고 나면 걷거나 버스로 이동을 해야 합니다
-하회마을 연대기-
고려 중엽 허도령이 하회탈 제작 | ||
고려 중엽 김해 허씨 웃골(거먹실)정착 | ||
고려 중엽 광주 안씨 향교골에 정착 | ||
고려 말기 풍산 류씨 공조전서 류종혜 선생이 입향 | ||
1572년 | 서애선생이 풍악서당을 옮겨 병산이라함 | |
1587년 |
서애선생 45세 옥연정사 창건과 "징비록" 집필 | |
1592년 | 임진왜란 | |
1613년 |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병산서원 중창 | |
1647년 | "징비록" 16권 7책으로 간행 | |
1928년 | 조선 총독부 하회별신굿 중지조치 | |
1930년 | 가구수(유씨 158호. 각성 132호. 주택 300여채) | |
1934년 | 낙동강 대홍수 | |
1963년 | 총가구수 266호. 인구 1,507명 | |
1964년 | 국보 제121호 하회탈 및 병산탈 지정 | |
1969년 | "징비록" 국보 제 132호 지정(지정일 : 1969-11-07) | |
1979년 11월 | 하회마을조사보고서 간행 | |
1982년 | 제방축조 | |
1983년 12월 | 하회마을 민속 조사 보고서 간행 | |
1984년 01월 | 중요 민속자료 제 122호로 하회마을 지정(1.10) | |
1992년 11월 | 사단법인 하회마을 본존회 인가 | |
1999년 04월 | 엘리자베스 2세 영국여왕 방문 | |
2006년 | 미국 전대통령 조지 부시 방문 | |
2009년 | 엘리자베스 2세 방문 10주년 기념행사 | |
2009년 08월 | 미국 전 대통령 조지w부시 방문 | |
2010년 08월 01일 |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제34차 세계문화유산 위원회(브라질) |
이렇게 역사를 이루어 온 하회마을에
앞으로도 무궁한 발전을 기대 하면서
역사의 발자취를 후대에 까지 길이 전하여야
할것으로 사료 됩니다.
'강물따라달리자 > 낙동강물길따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주/낙동강 700리 본류 최고의 절경 경천대 (0) | 2014.08.09 |
---|---|
상주/경천대&무우정 (0) | 2014.08.03 |
안동/안동댐에서 하회마을 가는 풍경 가을을 재촉하고 있다, (0) | 2012.08.31 |
안동/사랑이 이루어지는 마법의 다리 월영교 (0) | 2012.08.22 |
안동/자전거 여행 안동댐 (0) | 2012.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