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34년 8월 21일
- 일산화학공업주식회사(일본)로 넘어감※ 이후 일산화학공업주식회사는 4년 동안 가은주변의 석탄부존상태를 면밀히 조사함.
- 1938년 12월 1일
- 은성무연탄광으로 개발 착수(일산화학공업주식회사)
- 1942년
- 가솔린 기관차 철도 부설(점촌 - 가은)
- 1943년 4월
- 일산화학공업주식회사가 일본광업주식회사 합병되면서 일본광업주식회사로 넘어감※ 이때부터 은성탄광으로 명명됨
- 1945년 8월 15일
- 해방(은성탄광에 근무했던 일본사람들은 귀국함)
- 1946년 3월 18일
- 미군정청 상무무 광무국 직할로 운영(미군정청으로 귀속)
- 1948년 8월 15일
- 상공부 직할로 운영
- 1950년 11월 1일
- 대한석탄공사 창립(은성탄광 귀속)
- 1963년
- 신사갱 준공(현재 박물관 갱도전시장 입구)
- 1964년
- 석탄생산량 40만톤 달성
- 1979년 10월 27일
- 대형화재사고 발생(44명 사망)
- 1989년 4월 3일
- 석탄산업합리화사업단 발족
- 1994년 7월 31일
- 대한석탄공사 은성광업소 폐광
- 1995년 2월 14일
- 석탄산업 조성사업비 집행계획 공고(석탄산업합리화사업단)
- 1996년 10월 14일
- 건축공사 착공
- 1998년 5월 28일
- 건축공사 착공
- 1998년 8월 22일
- 실제갱도를 활용한 갱도전시장 준공
- 1998년 8월 31일
- 전시공사 준공
- 1999년 5월 20일
- 박물관 개관
- 1999년 12월 29일
- 문화관광부 제143호 박물관 등록
- 2010년 3월
- 중앙전시실 리모델링
- 2011년 6월
- 탄광사택촌 완공 및 개관 출처:무경문화관광과 및 문경석탄박물관
2015. 10. 6. 10:23ㆍ어디로갈까/박물·문학·미술관
문경석탄박물관
▣ 위치 : 문경시 가은읍 왕능길 112
홈페이지 : http://coal.gbmg.go.kr
▣ 시설규모
- 부지면적 : 50,136㎡(15,166평)
- 소장품 : 6,397 점
▣ 박물관 건립배경
석탄은 우리나라의 유일한 부존 에너지 자원으로써 국민생활 연료공급과 국가기간산업의 중추적인 역할로 국가 경제발전에 크게 기여하여 왔으나 물질문명의 발달로 그 수요가 급격히 줄어 들고 있어 그간의 석탄산업 변천사를 한곳에 모아 귀중한 역사적 사료가 되도록하고 후세들에게 석탄산업 전반에 대하여 이해할 수 있는 학습장으로 활용하여 석탄에 대한 기억을 되새기고자 함.
▣ 전시관 안내
- 1층전시실 : 우주의 탄생에서부터 지구의 형성, 석탄의 기원이 되는 고생대 그리고 석탄이 형성되는 과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일목요연하게 전개하고 있다.
- 2층 전시실 : 출갱장면, 매직비젼, 장비전시
- 갱도전시장 : 폐광직전까지 활용되던 실제 갱도에 전시공간을 구성하였다.
- 야외전시장 : 광업소분위기와 실제 갱도를 체험할 수 있다.
- 광원사택전시관 : 은성광업소 가행시절인 1970년에 건축되었던 25평 규모의 사택을 모델로 재현
▣ 박물관 관람시간 및 관람안내
▶ 3월 1일 ~ 10월 31일 : 09 : 00부터 18 : 00까지
▶ 11월 1일 ~ 익년 2월 말 : 09 : 00부터 17 : 00까지
▶ 마감시간 30분전 입장 완료해 주시기 바랍니다.
▶ 정기 휴관일은 매년 1월 1일과, 음력 설날 및 추석당일입니다.
▣ 안내전화
- 석탄박물관 : 054-571-2475, 550-6424,6426
'어디로갈까 > 박물·문학·미술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민속촌 박물관 (0) | 2016.07.20 |
---|---|
서울/1000년 타임캡슐 (0) | 2016.05.08 |
춘천/김유정 문학촌 (0) | 2015.03.11 |
춘천/김유정 문학촌 기념관 (0) | 2015.03.11 |
서울/문화역 서울 284 한화 예술 더하기 HISTORY : HI,Story (0) | 2015.02.10 |